제주 절물오름 자연휴양림
삼나무 그늘을 환히 밝히며 피어난 꽃
그 꽃이 지금 한창 사모곡을 쓰고 있다.
이른 봄부터 파랗게 돋아나
구근(球根)을 살찌우고 스러진 잎을 생각하며
그 구근(球根)에서 꽃대를 한껏 밀어 올려
그리움으로 피어났으리니.
백로(白露)를 앞두고 서늘해진 뜰을
한껏 달구고 있다.
♧ 상사화 1 - 양전형
신제주 갓 벗어나
제2횡단도로 천왕사 가는 길
무성한 풀숲 사이 긴 대궁
상사화 여기저기 피어있네
엉겁결에 핀 게 아닌 듯
어림짐작으로 핀 게 아닌 듯
늦여름 뙤약볕보다 더 뜨겁고
여섯 가닥 꽃잎이 한결같네
가진 것 다 버린 속셈
하늘 향해 일일이 드러냈네
만남은 우연이고 이별은 필연이라는 세상
바람에 알몸 흔들리며
봉별도 없는 듯한데 누구를 향한 그리움인가
느닷없이 몰려든 작달비
무심코 내 안 봉창을 두드리네
♧ 상사화 가슴 속으로 피다 - 이재현
뒤 돌아보면 등 굽은 겨울나무처럼
책갈피로 숨겨둔 그리움도 그렇게
눈 옴팡하여 웅크리고 있는 것인지
좀처럼 펴지지 않는 손가락을 굽혀 세던
천년 기다림의 날들을 마디마디 꺾어
하얀 뼈가 드러날 때까지 시샘으로
채 여물지 않은 종아리 툭 채며
바람은 좋게 마른 입술을 깨물어
그 눈물 고인 자리로 피어나는 꽃이
슬픈 전설의 상사화 이었을라
기다림은 까치발을 뜨는 것일까
진종일 길어진 목이 눈물 나게 아프더냐
네 가슴 내 가슴이 서로 애달프구나
마주 볼 수 없는 그 자상自傷이여
♧ 상사화를 보며 - 이민영李旻影
-호두나무 아래에서
허한 것과 허하지 않는 두 줄기의 물기둥이 내린다. 백상白商은 붉은 겹옷를 입고 山을 오르는데 뒤돌아서지 못한 여름 하나가 모래비를 내려 바다를 그리워하는 언덕을 만든다. 서리로 정제된 봄의 연민이 풀의 이상을 위해 별로 반짝인다. 반짝이는 것들이 땅을 때리며 울음을 부추긴다. 성한 것들은 바람의 둘레에 모여 있고, 허한 것들은 마른 날을 위해 축축해 지는 날, 오장에서 동화 되는 삶의 속도가 시간 차差에 정지된 것에 대하여 육부는 만족하다고 한다. 저 푸른 하늘은 꽃의 눈으로부터 얼마나 많는 고백을 들어야한단 것인가, 시작이 아닌 저문 날을 회상하는 여인들 손 안에 지구 공이 돌고 있다, 물을 흘러 보내 꽃을 피운다는 대궁의 매무새에 눈치채지 못한 소녀의 겨울들, 시간의 웃거름을 태워 사리로 응고된 봄의 상처들, 그러므로 관객으로 웅성거려야하는 저녁의 웃음들, 그렇게 사막의 꿈은 채워가는 여정에서 고혹이 휘저어 놓은 것들로 흔들리고 있으니, 나무요, 풀이요, 꽃으로 피웠는데도 보일 수 없는 꽃이다,
♧ 상사화 피면 - 김경숙
매년 같은 모습으로 찾아오지만
바라보는 마음은 여러 갈래
지지난해 애절한 꽃송이
지난해 하늘바라기 되어 사위더니
올해는 그리움 지천에 쏟아내어
온종일 소슬바람 속에
타들어가는 긴 기다림
다음해,
다다음해에 너를 다시 만난다면
♧ 상사화 - 목필균
이 가을
그대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주지 마세요
사랑하지 않으면서도
곱다고 쓰다듬지 마세요
그 손길은
늘 기다리게 하는
눈물이 되니까요
동백꽃 처연히 진
이른 봄부터
흙발로 정진해온
선운사 목탁소리
붉게 여물어가는 데
한 뿌리에서 태어나도
만나지 못하는 그대와 나
차라리 절망을 익히게
해 주세요
♧ 상사화 - 박상희
그리움이 얼마나
아픈 일인지
당신은
알지 못합니다.
사랑을 하면서도
곁에 있을 수 없다는 것이
얼마나 슬픔 일인지 당신은 모릅니다.
우리의 어긋나는 안타까움은
어긋나보지 않은 이들은
잘 모릅니다.
날마다 그리움으로 길어진 꽃술
분홍빛 애틋한 그리움은
언제까지 홀로여야 할까요.
긴 세월
침묵 에서
당신을 그리는 법을 배우고
기다림 속에서
위로 없이도 살아가는 법을
배워갑니다.
그러나 나는
당신을 사랑하지요
내 가슴에 심어진 당신의 사랑이
죽음보다 강함을
어제보다
더욱 믿으니까요.
'디카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칡꽃을 바라보면서 (0) | 2013.09.09 |
---|---|
백로에 보내는 미국자리공 (0) | 2013.09.07 |
9월의 하늘과 구름 (0) | 2013.09.02 |
권경업 시집 ‘꽃을 피운…’ (0) | 2013.08.31 |
꽃을 피운 바람의 독백 (0) | 201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