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영선 시집 '뿌리의 노래'의 시
♧ 유채꽃
그렇다면 그대
내 서럽도록 속잎 타는 봄날의 내력을
아시는지요
수왕수왕 한라산 칼끝바람 도처로
바닷물에 데이며 몸 끓는
억새밭 무덤 저기 저
비치미오름 개오름 생이오름 시근이오름 용눈이오름
팍팍 가슴팍 기어오르는
고사목 희디흰 몸통의 잠 붙일 데 없어
온 힘으로 오르내리며 시달리는
내 쪽잠의 역사를 아시는지요
밖으로는 향그런 속살 한번 터트리지 못해
한세상 속 저리며 일궈온 땅
살아서야 노랗게 빛나는 허망 볼 수밖에
가슴 속 괴인 것 여지껏 풀지 못해
지울 수 없는 무자년 봄날, 난데없는
꿈길에 밟혀도
마른 울음 재울 수밖에
그렇다면 그대여,
올 봄도 안으로 안으로 상처 덧바르며
우 일어서서 온 섬 흔들리우는
내 봄날의 시린 마음도 아시는지요 (1992)
♧ 다랑쉬동굴* 비가
도대체 천지의 새벽은 있었는가, 세상 문밖은
폭설 붉게 몰아치던 은월봉 돌오름 손지봉
부둥켜 끅끅 생울음 삼키던 분지로
슬픈 눈발이 흩어진다
무리져 얼크러진 한 생이 흩어진다
여린 유채꽃 대궁 하나만도 못했지, 목숨은
돌아갈 곳이란 숨겨둔 마음의 행처 하나 밖에 없어
동굴 속 한줄기 빛에 관한 관측은 어디에도 없어
난분분 분지마다 폭설은 쌓이고 쌓였지
한꺼번에 스러져 엎드린 마른 억새 황야의 이승과 저승
한치 앞 생도 예측할 수 없이 쓸려오고 쓸려가
곡기 주린 삶 앞으로 황급히 몰려왔다 몰려간
그 해, 연기의 역사
산자들의 꿈길을 재촉하지 않았겠나
버거운 연장의 삶은 부려 놓아라
뒹구는 녹슨 비녀 한 짝
어둠 속 죽어가는 풀꽃 잔뿌리는 매일 밤 죽어서도
뱉어낼 무엇이 있었을까
여린 울음마저 가둬버린 토굴 속의 잠
깊을 대로 깊어진 저 학살의 골짝마다
뼛골 사위어 가는 어둠의 나라
비로소 먼저 온 자, 문을 열었구나
아직도 들려오는 대처의 풍설은 흉흉하고 음험해
능란한 침묵은 더 능란한 자들의 세상
이제 웅숭거리는 소리마저 이슥토록
우거진 덤불가시에 찔려
어떻게 견뎌내지?
함께 썩음이 될 테까지,
우린 매일 밤 컴컴한 토굴 속 어둠의 나라
꿈길 헛길만 짚을 수밖에 (1992)
---
*1992년 제주 중산간 다랑쉬굴에서 4․3 당시 토벌대에 의해 희생된 11구의 유골이 발견됨.
♧ 한라산 고사목
해발 1600에 다리를 뻗습니다
살아 백년 죽어 천년
한라산 구상나무숲
스무 살 시절에 한라산 올랐습니다
고사목 퀭한 윗세오름
눈벌에 뿌리내린 고사목 청정했습니다
나이 마흔 넘어
올라가는 한라산
아직도 살아남아 버티고 있는
고사목 만져 봅니다
비울 것 다 비우고
제 몸엣것 훌훌 줘 버린 채
기억의 뼈대 하나만 세우고도
저렇게 견딜 수 있다는 건
스스로 경계할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탓일 겁니다
근본으로만 살고 싶다는 소리 없는
외침일 겁니다 (2003)
♧ 성산포 가는 길
마음이 지는 곳에서 길이 다하고 있습니다
거둘 것 없는 자에게도 거두리라
보이지 않는 길까지 걸어서 닿아야겠습니다
숲은 더 이상 무성하지 않고
그날 바랑 하나 진 채 허우적거리는
휑하니 가고 오지 않는 그림자 따라
빈 길까지 걸어서 닿아야겠습니다
마음 구르는 대로 새벽은 구르고
자귀나무는 안개로 뒤덮여 꽃 진 자리
버려진 것들은 버려져 아무데나
뒹굴고, 자귀숲 사이로 느닷없이
솟아나는 의혹의 죽음은
산자의 신경에 통증을 보태줍니다
붙잡을 수 없는 곳까지 걸어서
닿으려 합니다 (1992)
♧ 지금은 유채꽃 필 때
그런데도, 산자들은 참으로
댕댕이덩굴처럼 질긴 목숨줄이었습니다
그대여,
지금은 높은 산 왕성한 조릿대 숲 지나
골골마다 묻어 둔
수림의 꿈들이 그리운 집들을 찾아갈 때
바다 위로 유채꽃 피었다 질 때
남편 아들 손자 며느리 앞세우고
내 사랑 애기달래 씀바귀 봄풀로 살아날 때
그대여,
그리운 이들 먼저 앞세워
눈 먼 시간도 역사도
폭낭* 등걸 몸통으로 늙어 가는데
노랑이 분홍이 너울지는 봄날
하늘거리는 명주바다 속맘을 아시나요
아예 눈뜨기 싫어
용암같이 딱딱한
헛심장만 쥐었다 내려놓는
가슴팍 돌 소리 듣나요
견딘다고 견딘 것도 아니지만
짐승처럼 문 틈새로 기어오는 이 봄날도
그대여, 그냥 그대로의 봄날이 아닌 줄 아시나요
피뿌리풀 색깔 짙은 봄 바다로
지금 사람들 몸 풀고 마음 풀고 오고 가지만
그만 송악 덩굴 검은 슬픔 삼키는 봄날입니다 (1995)
---
*팽나무의 지방명
□ 허영선 시집 『뿌리의 노래』 (당그래 젊은 시인선 9, 2004)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