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3일, 제주 문학인들이
베트남 꽝아이 성으로 가서
그곳 문인들과 공동으로 낸 시집
‘낮에도 꿈꾸는 자가 있다’
출판기념회와 시 낭송회를 가졌다.
저녁 때 그곳 문학인들이 열어준 파티,
술 마시고 노래하고 즐기는 것은 다르지 않았다.
그들의 건배 구호 “못, 하이, 봐, 료!”를 외치면서
자정이 넘도록 마셔댔다.
위의 사진은 화순리 앞 바다,
다음 사진은 신촌 닭모르 해변이며,
뒤로 두 장은
베트남 꽝아이 해변 풍경입니다.
그 시집에서 바다에 관한 시 2편을 골라
두 곳의 바다 풍경과 같이 싣는다.
♧ 濟州바다 - 문충성
누이야, 오늘은 어머니가 키우는 눈물 속
바다에 비가 내린다. 빛 잃은 별떨기들 빗속으로 사각사각
부서져 내리고 너와 나의 목숨이 그
빛 속에서 새로 깨어남을 알겠느냐, 어머니의
굴욕과 고독이 네 핏줄에 자라남을 알겠느냐.
백 년을 갈아도 날이 서지 않는 칼 한 자루, 어찌
비내리는 밤을 잘라낼 수 있겠느냐, 濟州 바다는 아랑곳없이
폭풍우치는 샛바람을 열어놓고 울타리
돌담 구멍을 들락이며 하얗게
어머니 주름진 한숨을 청대왓에 빨아낸다.
누이야, 어머니 눈물 속 바다에서 자라 바다로
돌아가는 길, 한 줌 모래가 될까, 바람에 흔들리다
삼사월 따스한 햇살 속에 햇살로 남아 바람 속에
바람결로 녹아 바다 속으로 바다 속으로 무너져가는 것이다.
짭잘한 세상이 무너져가다 일어서는 것이다.
오늘은 어머니가 키우는 눈물 속
바다에 비가 내리고 빗발 속 골목서
팽이치기하는 너와 나의 幼年이 뱅글 매를 맞고
가만히 귀 줘 들어 보라, 샛바람 속
바람을 지우며 뛰는 白鹿의 발걸음 소리
또 하나 눈먼 문명이 휘몰아오는 시커먼 순수를 보라, 누이야.
♧ 바다와 먼지 - 응우엔 꾸아 쭈옹
절세미녀가 갑자기 왜 실성해버렸나
천상의 바람마저 갑자기 미쳐버렸다
선박도 뗏목도 총탄의 위협을 받았다
천지사방 혼란스런 손길이 바다를 포위했다
온 세상이 그저 한 무리의 개미떼가 되었다
푸른 바다가 한낱 집 뒤뜰의 연못이 되었다
기괴한 광란이 한없이 길어졌다
모든 것을 빼앗아 밑바닥 없는 상자 속으로 던져넣었다
달아나는 길을 망연자실한 눈으로 쫓아갔다
지옥이 활짝 열리고 천당으로 가는 길이 꽉 막혀버렸다
강한 자가 최고인 정글의 법칙은 절세미녀도 봐주지 않는다
도가 없는 자들의 도는
절세미녀를 만들지 않는다
나는 근본으로 돌아간다
빗자루 끌어안고 쓸어버린다
수천 년의 먼지를
활활 뜨거운
붉은 가슴
보름달.
'문학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대희 시집 ‘나무의 속도’ (0) | 2015.02.14 |
---|---|
매화꽃 피고 지고 - 洪海里 (0) | 2015.02.13 |
김수열 시집 ‘빙의’ 출판기념회 (0) | 2015.02.11 |
‘작은 詩앗 채송화’동인 신작시 (0) | 2015.02.10 |
우리詩 2월호와 흰완두꽃 (0) | 201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