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날 동안 열대야를 겪고 보니
마른장마 중 시원한 빗줄기가 그립다.
그런 중에도 시간은 모르게 흘러
밤송이를 저만치 키워놓았다.
벌써 가을을 그려보는 건 욕심인가?
저게 여물어 벌어지면 그만인 걸
하긴 훅하게 지나고 보면
여름은 너무 짧았다 싶겠지?
더워지면 산에 오르라고
산에 가서 여름을 보내라네.
♧ 근심거리 - 권경업
이 땅에 그나마 몇 남지 않은 산자락
대원사 지나 시오리 조릿대밭 길
간간이, 굴참나무 낙엽
하릴없는 내 나이처럼 쌓여 가는 곳
봉우리마다 피는 바람꽃, 기다림에 야윈 가슴 위해
세평 뜨락 아무렇게나 마른 풀섶에서
풀벌레는 제 명을 깎아서 운다
어찌 들으면, 눈물처럼 솟는 설움같기도 하고
어찌 들으면, 밤새 부를 초혼가같기도 한 소리
별이 되어 버린 그리움들
밤하늘 가득 돌아오라며 불 밝힌 처마 끝
비탈의 나무들 단풍 든 지 오래, 이제는 잎마저 져
한 차례 소슬바람 헤집고 간 뒤
이런 풍광에 담담해 하는 민 씨
노구솥 가득 마가목술 내어 놓는다
이슥토록, 그리운 이를 그리워하는 이야기 끝에
산중의 이야기 시(詩) 아닌 것이 어딨겠냐만
마지막 사과알 여물어 가는
새재 아래 과수밭까지
어제는 전기가 들어오는 오늘은 새 도로가 닦이고
그 뒤를 따라 행락객 왁자지껄 들어온다며
그나마 몇 남지 않은 산자락 또 근심거리가 생겼다
---
*노구솥-등산이나 야외용의 솥. 코펠.
♧ 그리움 앞세워 - 권경업
핏기 없는 하늘 조금씩 나누어 품고
가을을 앞세워 새재를 넘자
가다 보면 어느새 품안엔 솔솔바람, 그 바람 줄곧
평촌리 들녘 쫓아오던 세속(世俗) 것인 줄 알겠지만
지금은, 고향 떠나 어느 먼 도시
쉬 중년을 넘겨 낯설게 늙어 갈
어느 소녀의 눈빛 같은 조개골
둥둥 걷은 그리움의 맨종아리로 건너면
까치발 발돋움으로, 혹여
아쉽게 떠나보낸 봄날이 저만치
연분홍 연둣빛 아름다운 날들이 저만치
목을 빼 바라보는 장당골 굴참나무 숲
어디선가, 후두둑 여문 도토리 떨어뜨리는
산죽(山竹)밭 맑은 댓바람 있으니
하산한 뒤 다시 그 가슴으로 하늘 짜 맞춘다면
세상 온통 싱그럽지 않을까
여보게, 그런 새재를 넘어 보지 않을래
아득한 그리움에 다가가려면
가을을 앞세워 가야 한다기
♧ 토왕성의 빛 - 권경업
푸른 빙벽은
계곡을 흐르던 달빛의 결정이다
날개 없이 하늘에 다다를 수 있는
지상의 유일한 길이며
젊은 날 오르려했던
많은 산꾼들의 이상향이었다
처음 보는 이들 눈멀게 하던 차가운 빛
목메이던 한번의 오름짓은
모두의 부러움이었으며
밤이면 먼 바다의 오징어잡이 집어등集魚燈
돌아가야 할 지상의 좌표로 떠다녔다
아침이면 오름꾼의 정열
동녘바다의 해처럼 타올라
세찬바람이
호, 희, 순, 식, 겸, 진의 사이를 헤집어도
우정은 노적봉의 자작만큼 빛났고
사랑은 비룡폭포 두터운 얼음장 밑
도란거리는 물처럼 쉼없이 흘렀다
이제 우리들 사이에는
아득한 그리움이 설악의 능선처럼 자리했는데
젊은 꿈을 키우던 금정산 비탈로
그대들 뿌려둔 토왕성의 빛이
오월의 푸르름으로 번져오른다
---
*토왕성: 외설악에 있는 수직 고도차 약 400m의 국내 최대 빙벽
*금정산: 부산의 대표적인 산
'디카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지 못한 '이정록, 한여름 밤의 시식회' (0) | 2016.07.16 |
---|---|
'우리詩' 7월호의 시조와 꼬리풀 (0) | 2016.07.15 |
여름에게 - 문병란 (0) | 2016.07.05 |
7월을 맞는 약모밀 (0) | 2016.07.01 |
6월을 보내는 까치수영 (0) | 2016.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