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월 달빛 외 2편 - 양순진
외도를 지나 하귀 포구를 지나 고내를 지나면 닿는 곳이 있다.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애월, 달빛이 비추면 누구나 머물러 달라는 소리로 통역된다. 달빛이 비추는 부분에서 달이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들어가기 위해선 몸을 구부려 애월 포구를 한 바퀴 휘이- 감싸 안아야 한다. 달빛 깨우는 바다의 귀울음 되어 보아야 한다.
애월은 물에 발 적시는 곳이 아니다. 파도소리에 귀 기울이는 곳도 얕은 절벽에 몸 기대는 곳도 아니다. 달빛에 물 적시고 달빛에 귀 기울이고 달빛에 몸 씻는 달빛전차의 간이역이다. 애월에 접어들면 제주의 바다가 다 모여든다. 제주의 파도가 다 모여들고 제주의 갈매기가 다 모여든다. 달빛에 스며들어 멎었던 그리움이 다 모여든다. 삭아버린 슬픔의 비릿한 내음까지 달빛과 몸 섞는다.
애월에 무언가 놓고 간 기억에 발을 들여놓는다. 정확하진 않지만 가물가물 달꽃이 피어오르는 간이역에서 언젠가 꼭 한 번 스쳐간 새하얀 파도, 그 파도의 지워진 문장을 다시 읽기 위하여 붉은 귀를 달 아래 세워둔다.
한림항을 지나 고산포구를 지나 모슬포항에 머물다 다시 돌아올 때도 닿는 곳이 있다. 애월, 아무도 머물지 않는 곳, 가고 싶어도 더는 갈 수 없는 당신의 마음처럼 먼발치에서 바라보는 슬픈 달그림자 에워싼 곳, 달의 뒤쪽은 항상 안쪽으로 몸을 기울이려고 파도를 불러 세우지만 몸을 비트는 사이 파도는 천 번 울어야한다는 것을 거기 두고 온 귀는 기억한다.
달빛에 온통 젖은 소라 귀는,
♧ 나이테의 보폭으로 - 양순진
일 세기 전의 바람이 일 세기 후의 나무를 쓰러뜨린다면 뿌리가 박고 있던 흙의 내부엔 바람의 후예가 혼을 불어넣어 유목 중이었던 건 분명한 이론
너무나 아득하여 먼 하늘가 숨어버린 연민의 사람도 옷장의 내부를 들춰보면 애벌레 흔적들 스멀거리듯 몇 천 년 흐르면 하늘 찾은 나비처럼 눈동자 안으로 비행할 일
이 집과 건너편의 집 멜로디는 너무나 달라 한 족속이 될 수 없는 음音은
일 세기 전의 바람에 접목된 나무처럼 누적된 슬픔의 기억으로 겨울을 버틴다지 거짓말 못하는 나이테의 보폭으로 숨결은 멎을 듯 멎을 듯 이어지고 죽어가는 잎사귀의 빛깔로도
이젠 아네
아카시아잎의 어긋남처럼 별이 심장에 박히는 슬픔을
수억 년 전의 바람이 수억 년 후의 하늘을 휘감는다면 하늘에 위배된 구름 한 점이 토해낸 빗줄기는 몇 개의 산을 허물어뜨릴지
이젠 아네
연민의 뒤에서 껴안지 못해
나무의 잎사귀 무수히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 자작나무 카페
한참 오래 전
정실길 걷다가 긴 나무 기둥 심어진
집한 채 보았네
안은 볼 수 없었지만 나무줄기에 잎이 돋고
자작나무 카페라는 간판 올려졌을 때
또 한 번 스쳐 지나갔네
그대와 함께였네
그대와 나 아직 서먹서먹해서
그 문 열고 들어가지 못했네
카페 문 여는 것보다 그대 맘 여는 게
먼저였기에 마음 깊이 숨겨두었네
그대 안 궁금한 것처럼
카페 안 궁금했지만
다음 生에 라고 약속했네
가을 가고 겨울이 올 즈음에 그가 떠났네
그의 마음 열어보기도 전에
카페 안 들어서지도 못한 채
자작나무 사랑은
설원에 묻혀버렸네
다시, 정실길 걷게 되었네
봄꽃들 피어나 서성였지만 난 혼자였네
자작나무 잎은 무성할 대로 무성하고
카페 문 밖 빈 의자들 날 보고 있었네
안은 커튼에 가려져 볼 수 없었네
들어갈까 하다가 그냥 스쳐지나갔네
그대 안 들어서도 못한 채 보내버린
그 한 生 못내 아쉬운 것처럼
자작나무 카페를 지나치네
혼자 그 앞을 스치네
그가 자작나무로 서 있네
아직도 그대 안 열어보지 못했네
'문학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대희 시집과 서향 (0) | 2015.02.28 |
---|---|
권도중 시인의 시와 유채꽃 (0) | 2015.02.27 |
제주시조 제22호와 광대나물꽃 (0) | 2015.02.21 |
고은영의 봄 시편과 분홍매 (0) | 2015.02.16 |
권도중 시집 ‘비어 하늘 가득하다’ (0) | 201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