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가실 줄 모르는 더위
이럴 땐 태풍이라도 하나 와
오래 누적된 열을 식혀주면 좋으련만
도저히 그럴 기미는 보이질 않는다.
어제는 끝 모르게 이어지는 차량행렬
아침부터 더위에다가 끝모를 정체까지,
내가 타고 갈 택시는 어디에도 없다.
마침 오늘 행사 차량 지나갈 곳이 이쪽이라
지나는 길목에서 타겠다고 전화해 놓고
그곳까지 슬슬 걸어가는데, 이 싱싱한 꽃을 만났다.
시간도 약간은 여유가 있어
폰을 꺼내들고 오랜만에 꽃을 찍었다.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열흘 가는 꽃이 없다는데,
이 꽃은 번갈아가면서 백일을 채운다네.
♧ 배롱나무 꽃그늘 아래서 - 이정자
사랑아, 이제 우리 그만 아프기로 하자
피어서 열흘 가는 꽃 없다는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을 무색케 하는
배롱나무 꽃그늘 아래서 우리 뜨겁게 만나자
당신과 내가 눈 맞추던 처음의 그 자리로 돌아가
뜨거운 태양과 비바람을 견디며
배롱나무꽃이 백 일 동안이나
거듭 꽃 피워야 할 이유가 무엇이었는지를
호숫가 노을이 다 지도록
가슴 속 그리움 다 사위도록
무언의 눈빛으로 나누자구나
서로에게 눈 먼 죄로 쉽게
해 뜨고 해 지는 날 없었을 것이라는 것을
흘러가는 강물에 띄워 보내며
배롱나무꽃보다 더 화사한 사랑 하나
우리 생애에 새겨 넣자구나, 사랑아
♧ 배롱나무 꽃 - 예당 조선윤
화무십일홍이요
열흘 붉을 꽃 없다지만
석 달 열흘 피워내어 그 이름 백일홍이라
뜨거운 뙤약볕 이글거리는 태양 아래
꽃봉오리 터지던 날
진분홍 주름치마 나풀거리며
살랑이는 바람결에 살포시
미끈한 속살 내비치는 한여름의 청순한 화신이여!
제 안에 소리없이 시들어가는 걸 알면서도
온몸 다해 다시 피워내어
폭죽처럼 터져 선혈처럼 낭자하다
반들반들한 수피에 붉는 간질 나무여
화려한 꽃그늘 밟으며
꽃 폭죽 맞으며 여름 가고
꽃 카펫 밟으며 가을 온다.
♧ 선운사 배롱나무 夏安居*에 들다 - 송정란
올해도 저 허공에 던져둔 화두를 향해
굵직한 가부좌로 틀어 앉은 목백일홍
漸悟行*, 오랜 修行으로 굽은 가지, 삼매에 들다
---
*하안거(夏安居) : 스님이 여름 장마 때 외출하지 않고 한 방에 모여 수도하는 일.
*점오(漸悟) : 불교 용어로서. 점점 깊이 깨닫는 것을 뜻함.
♧ 백련사 배롱나무 - 김종구
매미 피울음 쏟아지는 땡볕아래
선홍빛 가슴 활짝 열어젖히고
꽃 염주 돌리고 있다
아연 화안해진 법당 안 부처님만
색즉시공 공즉시색
마음 하나 흔들리지 않고
하안거 중인 스님들의 온몸에 불이 난 땀띠인가
화두 깨우치는 밝음인가
아님 처녀 동박새 참다 참다 이제사 뱉은
처연한 목울음인가 생각하다
그냥 황홀경에 빠져 있을 때
비구니 한 분 자던 바람 일으켜놓고 지나가자
배롱나무 냄새가 난다
그때, 배롱나무에선
화엄경 소리 들리고
속살 냄새 확
시인이 뒤집어썼는데
게슴츠레하게 보고 있던 낮달
뜬금없이
바짓가랑이 내린 구강포 에
철푸덕 철푸덕
제 몸 식히고 있다
♧ 배롱나무꽃 - 반기룡
개화공원에
배롱나무 꽃 흐드러지게 피어있네
화무는 십일홍이라 했거늘
무더위 속에서 석달 열흘 꽃피우는 절절함이여
처녀의 한이 서린
요염한 자태로 꽃 피우며
황홀경에 빠지게 하니
옛 혼령 뚜벅뚜벅 걸어와
한동안 유희의 시간을 내려놓을 것도 같은데
하마 후두득 떨어지는 모습을 보니
세월은 어찌할 수 없나 보구려
백 일간 치성으로 만발한 꽃이여
어느덧 꽃숭어리
툭! 떨어지며 발등을 가로지르네
---
*개화공원 : 충남 보령시에 있는 공원.
'디카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복인데도 연일 열대야가 (0) | 2016.08.16 |
---|---|
광복절과 무궁화 (0) | 2016.08.15 |
해녀의 한을 감춘 해녀콩 (0) | 2016.08.11 |
입추를 보내며 붉은사철란을 (0) | 2016.08.07 |
소나무야 소나무야 (0) | 2016.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