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금
하간 낭덜은 저을 들어가민 이녁만썩 살 오멍덜을 주. 영양분을 꼼이라도 덜 으시대기젱, 입상구리는 류왕 다 털어불곡, 봄이 피왓단 고장덜은 름으로 익엉, 손 번성 시키젱, 씨 우터레 맛존 것을 더펑, 하간 중싕덜신디 먹어도렌 주. 사름도 중싕이라 그걸 고만 내불지 아니엿주. 요세처록 맛 좋은 것덜이 어서노난, 그걸 타 먹으레 오름더레도 올르곡 곶자왈더레도 곡, 시도 고만 싯질 못여서.
---
* 름 : 열매.
* 오멍다 : 움직이다. 몸을 움직여 나다니거나 일을 하다. 활동하다.
* 곶자왈 : 깊은 산골에 나무나 덩굴 따위가 마구 엉켜 있는 수풀.
* 으름
♧ 졸겡인 맛 좋으난 일름도 하
을 들엉 곶자왈에 들어강 고개 들렁 보문 어웃게 벌어진 트멍으로 히뚜룩 물을 문 게 이신디 그것이 졸겡이라. 맛이 좋으난산디 가는 디마다 일름이 나. 보통 존곙이엔 는디, 우리 동네선 그자 졸겡이엔 주. 어떤디선 고냉이똥, 목통이름, 유럼, 유름, 유으름, 졸, 종겡이엔도 르메. 꼭지에 다섯 개 붙은 것도 싯곡, 늬 개, 싀 개, 두 개, 나짜리도 셔.
짝 벌어진 거부터 크긴 여도 안적 벌어지지 아닌 거지 랏질이주. 안 벌어져도 손으로 벨라지는 건 그냥 깡 먹곡, 안적도 설어베문 집이 왕 보리항에서 익형 먹곡. 그 땐 그보단 더 맛좋은 게 이 싀상에 으신 줄 알아서. 요세 트문 바나나주. 입에 놓으문 살살 녹아시난. 경디 이젠 생이덜이 어떵사 한디, 아적이 베르싸지문 주둥이 디물랑 조사먹어부러. 름에 밧디 갓당 잣 우희 이게 앙 이시문 잣 소곱에 곱졍 놔둿당 이제부렁 못 앙 내불기도 곡.
---
* 물 : 껍질 속에 들어 있는 알맹이.
* 베르싸지문 : 속엣 것이 겉으로 드러나게 벌어지면.
* 조사먹어부러 : 쪼아먹어버려.
* 머루
♧ 멀뤼영 레영 타 먹으멍
육지선 을에 주로 멀뤼영 레영 타먹넨 주마는, 이디도 그런 건 하주. 멀뤼는 멀뤼, 가마귀멀뤼, 생이멀뤼, 개멀뤼가 신디, 개멀뤼만 안 먹엉 다 먹으매. 그건 꺼멍케 익질 아니영 어떵 퍼렁케 익으멍도 지 색이 아니라. 그 중에 질 하영 먹는 건 가마귀멀뤼주. 쉐촐 비레 댕기멍 보문 돌담에도 얼거졍 잇곡, 꼬만 낭에 올랑 지락지락게 앙, 꺼멍케 익엉 시문 타먹기도 좋아. 술 담앙도 먹곡.
* 다래
레는 노픈 오름이나 곶자왈에 하주. 줄거리가 큰 낭에 올랑, 드러 줄 벋으멍 아놓으문, 타먹기도 어려와. 경여도 하영만 이시문 낭칠 잘는 놈덜은 어성 못 타먹엇주기. 이것도 종네기가 이성 개레영 중이레는 안 먹곡 그냥 레만 먹주. 웨국에선 이 레 지단 키위 멘들앗젠 는디, 섬레 져단 멘든 생이라. 잘 익은 거 방올 탕 입에 놩 콕 씹으문, 픽게 까지멍 입안에 좋은 내우살이 퍼지멍 코롬 맛이 일품이주. 이걸로 술 담아도 좋댄여.
* 틀(산딸나무 열매)
♧ 틀 타먹은 하르방 허대듯
‘틀 타먹은 하르방 허대듯다’는 속담이 신디, 그건 ‘벨 것도 아닌 거 정 허대는 걸’ 보멍 는 말이주기. 요세 낭 한 오름에 강 보문 이게 익어감신디, 올흰 태풍 불어나부난 입상구리 다 털어젼, 름만 지락지락게 하선게, 그건 익어가문 생이덜 밥이주. 입상구리 우터레 나왕 지락지락게 난 타기도 좋앙, 우리 아바님 살아실 적읜 곶의 갓당 동고량에 숨박 타당 주곡 여나신디….
틀곡 꼼 비슷 것에 쿳갈제기가 싯주. 그건 쿳가시낭 여름인디, 익으문 벌겅곡 탈 땐 히양 고름이 나와. 꼼 들쿠룽디 먹을만은 여. 요세는 이게 하간디 좋댄 소문이 난, 뿔리, 가지, 입상구리 릴 거 으시 드러 타당 차도 멘들앙 먹곡, 그냥 딸령도 먹곡, 지름 내영 먹으문 암 고찐덴 나라가 들싹들싹, 어서가난 제주섬더레 몰려들엄젠 염서.
---
* 동고량 : 대나 버들고리 따위로 만든 동그스름하고 길이가 30cm쯤의 자그마한 대그릇. 주로 도시락으로 쓰임. → 동고리. 도솔기. 밥장석. 밥차롱.
* 쿳가시낭 : 꾸지뽕나무. → 귓가시낭. 쿳낭. 큇가시낭. * 이형태가 많음.
* 딸리다 : 달이다. 고다. 폭 끓이다. → 딸이다.
* 볼레(보리수) 열매
♧ 볼레는 하간디서 만나지곡
을에 익는 볼레는 조폴레옌 는 곡 동글동글 거주. 늦인 봄에 익는 소롬고 큰 건 보리볼레엔 곡. 이건 해거리도 는디, 땐 볼침으시 하영 열문 아래 치매 바투앙 탁탁 털기도 여. 경곡 눈 맞앙 꼼 부풀문 먹을만 주기. 이건 떼로 몰령 이신 경우가 하난, 족아도 타 먹엄시문 시장끼 가시곡 입이 초락초락 여지주기. 그때부떤 탕 술도 담앙 먹곡 매.
이것 말고도 술 담는 것에 정갈리가 잇주. 꼭 삼동 치록 꺼멍케 익는 건디 그냥 먹어도 뒈주마는 술 담을 걸로 타당 기도 여. 맛은 벨로라도 그냥 타먹기도 곡 술도 담는 건 뻘겅 마가목, 덜꿩, 가막살낭 름이주. 모람은 꼼 늦게 익어. 한라산더레 가문 불로초엔 시로미가 잇주마는 여름에 익곡, 노가리 름도 뻘겅게 익으문 맛좋으매.
---
* 볼레 : 보리수나무 열매.
* 초락초락 : 풋감 따위에 탄닌이 많아 떫은 꼴. → 쪼락쪼락.
* 정갈리 : 정금나무. → 정가웨. 정갈뤼.
* 주목(노가리) 열매
'제주어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선충 빙든 소낭 (0) | 2013.12.18 |
---|---|
‘지슬’ 영화 봅디강 (0) | 2013.11.30 |
김동환 '웃은 죄' (0) | 2013.08.09 |
윤동주 '별 헤는 밤' (0) | 2013.07.12 |
김소월의 '개여울' (0) | 201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