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집의 오름 이야기

향토문화 기행

2015 을미년 탐라국 입춘굿

김창집 2015. 2. 4. 06:02

 

  2월 3일 제주의 민속제인 ‘탐라국 입춘굿’이 동자복 미륵과 서자복 미륵에서 제를 올리면서 시작되었다. 동자복은 사라봉 아래인 제주시 동쪽에 서서 읍성을 지키고 서자복은 용두암 동쪽인 제주시 서쪽에서 읍성을 지키는 미륵상이다.

 

  두 곳에서 제를 지내면서 시작된 축하 행사는 제주신화에 나오는 설문대여신, 영등신, 대별왕과 소별왕과 세경3신인 자청비, 문도령, 정수남 등의 신상등과 풍물을 앞세운 길놀이로 펼쳐졌다. 이어 관덕정 마당에서 신상(神像)들을 좌정시키고, 풍물난장으로 흥을 돋운 뒤 풍요를 기원하는 세경신제를 올리면서 전야굿이 끝났다.

 

 

자청비(위)는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서사 무가인 ‘세경 본풀이’의 여자 주인공이다. 파란만장한 곡절 끝에 하늘 옥황에서 오곡씨를 가져와 중세경으로 농경신이 된다. 농경신이지만 특별한 신체나 제단은 없고, 밭에서 점심을 먹을 때 먼저 밥을 조금 떠서 던지며 ‘고시래!’를 외치는데, 이것은 농경신을 대접하는 행위다.

 

 

  영등할망(위)은 제주도에 음력 2월 초하룻날에 찾아와서 2월 15일경에 떠난다고 알려진 신으로 제주에서는 해산물이나 농작물의 풍요로움을 가져다주는 풍농신으로 더 알려져 있다. 2월 초하루 영등맞이굿을 하며 2월 14일에 송별굿을 하는데, 이 굿은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문화재에 등재되었다.

 

 

  설문대할망(위)은 제주섬 창조의 여신으로, 제주는 호기심 많았던 옥황상제의 셋째딸인 거대 여신 설문대할망이 예술적으로 창조한 섬이다.

 

 

  세경신(위)은 자청비가 하늘 옥황 문도령을 만나 사랑을 나누고 씨앗을 얻어옴으로써 농사일을 관장하는 신이 되었다는 이야기. 세경은 땅이며 그를 관장하는 신은 상세경 문도령, 중세경 자청비, 하세경은 목축신인 정수남이다.

 

 

  대별왕(위)은 제주신화의 천지왕 본풀이에 나오는 이야기로, 천지왕의 두 아들인 대별왕과 소별왕이 인간 세상으로 내려와 해도 둘, 달도 둘이던 혼돈의 세상을 활로 쏘아 하나씩 없애고는 송피가루를 뿌려 천지 질서를 바로 잡았다.

 

 

낭쉐는 나무로 만든 소로 낭쉐코사를 위한 소다.

이걸 모시고 고사를 지낸다.

 

 

○ 2월 3일(화) 전야굿 18:00~21:00

 

제주동서미륵제 - 동미륵과 서미륵

제주신화신상 걸궁/ 거리난장 - 원도심 일대

입춘휘호(서예가 강창화) - 관덕정

세경제/ 낭쉐코사 - 관덕정

 

 

○ 2월 4일(수) 입춘굿 10:00~17:00

 

춘경문굿/ 입춘걸궁 - 제주도청 및 원도심일대

탐라국 입춘굿(보존회)

창극 ‘자청비의 사랑’(국악단 가향) - 제주목관아

낭쉐몰이/ 친경직전(제주민예총) - 제주목관아

입춘탈굿놀이(제주두루나눔) - 제주목관아

 

 

2월 5일(목) 놀이굿 10:00~17:00 제주목관아

 

어린이 난타(꾸러기놀이국악단)

실내악연주(제주樂)

제주신화마임(이경식과 뚜럼)

우리할망넨 영 살앗수다(민요패 소리왓)

애기무(제주춤아카데미)

전통공연난장(노리안 마로)

대동난장(제주시민속보존회)

 

 

○ 먹거리마당(11:00~17:00)

 

입춘천냥국수(15:00까지) - 목관아주차장

제주향토음식/ 입춘주전부리 - 관덕정 마당

 

○ 시민참여마당(10:00~17:00) 제주목관아

 

입춘 신받음/ 소원지 쓰기/ 꼬마낭쉐 만들기

입춘첩 쓰기/ 도예 체험/ 판화 찍기

얼굴그리기(장수 초상화)/ 입춘 기념사진 찍기

전통 탈 만들기/ 기메 체험

 

○ 입춘 장터 10:00~17:00 제주목관아

 

입춘 소원, 행운 등

입춘 상품 판매

 

 

‘신들의 고향’

제주의 1만8천신들의 역할과 임무가 바뀌는

신구간(新舊間)이 끝나고

새로운 신들이 좌정하는

새철 드는 날인 입춘에

민·관·무(巫)가 하나 되어 벌였던 축제다.

일제의 문화말살정책으로 단절됐다가

1999년 제주민예총에 의해 복원됐다.

이후 해마다 열리는

제주의 대표적 민속축제로 자리 잡았다.

 

'향토문화 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귀도에 다녀와서  (0) 2015.10.20
송당리 신과세제  (0) 2015.03.04
다시 찾은 추자도  (0) 2014.10.21
김창집의 新 탐라순력도 '광령1리'편  (0) 2014.09.05
아홉굿마을 '낙천리'  (0) 2014.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