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집의 오름 이야기

문학의 향기

'우리詩' 9월호의 시

김창집 2016. 9. 1. 23:46

                                                                                                                                 *분취

우리9월호가 나왔다.

읽다가 앞에서 시 몇 편을 골라

9월에 피는 한라산의 들꽃과 함께 내보낸다.

 

통권 339호 주요 목차

 

권두 에세이 | 임보

신작시 32| 안익수 정성수 차옥혜 권순자 복효근 김용화 임영희 김기찬 윤석주 김지헌 도경희 박원혜 이규홍 권혁수 전다형 정온유 임윤식 유정자 조영심 박소영 임미리 임채우 금혜정 박병대 방화선 신단향 전비담 권이화 김다솜 박가경 이문희 이나혜

나의 애송| 노민석 마선숙 정운자

기획연재 인물 | 이인평

신작 소시집 | 강동수

테마 소시집 | 이산

시에 대한 에세이 | 김승기 박승류

한시한담 | 조영임

    

 

                                                                                              *한라솜다리

호수 - 이형기

 

어길 수 없는 약속처럼

나는 너를 기다리고 있다.

 

나무와 같이 무성하던 청춘이

어느덧 잎 지는 이 호숫가에서

호수처럼 눈을 뜨고 밤을 새운다.

 

이제 사랑은 나를 울리지 않는다.

조용히 우러르는 눈이 있을 뿐이다.

 

불고 가는 바람에도

불고 가는 바람처럼 떨던 것이

이렇게 잠잠해질 수 있는 신비는

어디서 오는가

 

참으로 기다림이란

이 차고 슬픈 호수 같은 것을

또 하나 마음속에 지니는 일이다.

        

                                                                                             *솔체꽃

지금 어디 사세요 - 안익수

 

삽질이

발길보다 세다며

개천에 다리를 놓으려면

그 하나는 부러진 푯말을 위하여

다른 하나는 금이 간 숫돌의 이력에 대하여

변두리 풀들에게도 물어봐야 한다

누구의 흠집으로 주전부리하기 보다는

밥상에 숟갈을 먼저 놓을 일이다

땡감이 달빛에 살을 섞어

바람이 비아냥거릴 때

능금이 붉는다고 말해야 한다

어둠을 밀고 가는 가로등과

목발 짚은 구름의 안부를 물어

골목길의 문패는 나이가 들어간다

        

                                                                                              *수리취

꽃 피는 저녁 - 권순자

 

구름 속을 달리는 사람

싸늘한 어깨를 어루만지며

은밀한 사랑을 색칠하고 간다

 

뼈아픈 저녁이 천천히 지나가고

상실의 낮이 급히 지나가는 길목

 

발을 구르며 돌아가는 빛

담벼락을 쓰다듬던 따스한 손을 거두고

단호하게 날개를 펴고

하얀 몸을 들어 공중으로 떠오르는

 

아련하게 멀어지는 붉은 빛

내 안의 어둠을 찾아 스며드는

꽃 한 송이

 

어둠에 둥둥 떠다니는 내 앞에

문득 펼쳐 보이는

부풀어 오른 나의 꿈 한 송이

        

                                                                                         *쑥부쟁이

청량일기 - 복효근

 

수선화 구근을 캐낸 자리

고슬고슬한 맨땅에

참새 떼 날아와 모래목욕을 한다

 

딱 제 몸 크기의 흙 욕조를 만들고

부르르부르르 깃털을 고른다

 

뭐라고 뭐라고 떠든다

흙먼지 일고 새소리가 수선화처럼 노랗게 핀다

말하자면 얘기꽃이겠지

 

시월이 오면 나는 다시

그 자리에 수선화 구근을 묻을 것이다

 

봄이면

참새의 욕조에선 새깃 같은 싹이 돋고

참새의 지저귐 같은 수선화가 필 것이다

 

소리의 꽃과

꽃의 소리 사이를 오가며

한세상 까무룩 저물 수만 있다면

 

한 켤레뿐인 내 발은 다 닳아도 좋겠다

저들과 더불어

죽을 일을 한 생쯤 잊어버려도 좋겠다

        

                                                                                             *싸리꽃

분꽃 - 김용화

 

담장 밑에 세숫물 받아먹고

저녁쌀 씻을 때면

방긋이

피던

 

단봇짐 끼고 어린 동생

앞세워

영 너머 부잣집 늙은 영감 시앗으로 들어간

열여섯

분이 같은

    

 

                                                                                             *가시엉겅퀴 

지퍼 - 김기찬

 

하늘 밑단과 바다 끝단을 덧댄 그 경계가 아득한 저물녘이다

 

수평선 외줄 따라 통통배 한 척 느려터지게 지나가고 있다

 

멀리 벌어진 쪽부터 하루가 캄캄하게 채워지고 있다

        

                                                                                                *어수리

껍질에 대하여 - 윤석주

 

   돌담 옆 늙은 자목련나무 가지에 매미허물 하나 매달려 있다. 영혼이 담긴 진짜 몸은빠져나가 한 계절을 노래하며 뜨겁게 살아내는데, 다 비우고도 적소에 들지 못하고 한동안은 더 외로움을 견뎌야 하는 빈 몸. 많은 세월 버텨온 내가 구멍 숭숭 뚫린 나를 들여다보듯 한참을 들여다보고 있다.

    

 

                                                                                           *제주달구지풀 

쌀죽 한 그릇 - 김지헌

     -실크로드 3

 

매일 아침 여행지의 호텔에서

흰 쌀죽을 먹었다

쌀죽이 있으니 얼마나 다행이냐고

그 힘으로 혜초의 발자취 따라 발을 옮기었다

 

세상으로 나아가라고

배탈이 날 때면

엄마가 끓여주던 흰 쌀죽 한 그릇

이국의 낯선 음식 앞에서 입 짧은 나에게

그래도 쌀죽이 있지 않느냐고

세상을 향해 등떠민다

아무도 모르게 숨겨둔 비상금 같은

엄마의 쌀죽 한 그릇


                                                                                                                                 *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