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하고 적막한 정수사에서
종일토록 말을 나눌 사람 없어라
남쪽 들창 아래에 홀로 누워서
구름 보니 눈앞이 흐려지누나
寥寥淨水寺, 終日共誰言.
獨臥南牕下, 看雲淚眼昏.
-「정수사에서 역병을 피하다(避癘淨寺)」,『명재유고 明齋遺稿』
---
*명재 윤증(尹拯, 1629~1714)이 81세 때 역병을 피해 정수사에 머물며 쓴 시.
한 달가량 병을 앓아 사람들이 피하므로
사립문을 남들에게 열어주지 못하는데
이웃집의 여자아이 그걸 어찌 알겠는가
담장 위로 나비 날면 번번히 쫓아오네
吾病三旬被衆猜, 柴門不敢向人開.
隣家小女那能識, 一一墻頭趁蝶來.
약 달이는 화로에 불이 가물거리는데
병난 뒤로 잠이 줄어 잡념만 가득하네
새벽 종소리 나를 일깨워 줘 고마우니
항상 친구 음성을 듣는 듯한 느낌이네
藥爐殘火有孤明, 病後無眠百慮盈.
多謝曉鐘偏起我, 每回聞似故人聲.
-번암집(樊巖集)
---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이 역병에 걸렸을 때 쓴 연작시 중 2편.
한 줄기 봄바람에 눈물 섞어 세월 보내는데
적막한 곳에서 어찌 좋은 경치 그리워하겠나
봄바람 다 분 줄도 몰랐는데
빈 뜰에 두견화가 모두 떨어졌네
一春和淚送羲娥, 寂寞何曾戀物華.
不覺東風吹欲老, 空庭落盡杜鵑花.
-「우연히 짓다(偶題)」,『백담집(栢潭集)』
---
*구봉령(具鳳齡, 1526~1586)이 쓴 시로 ‘두 아이가 천연두를 앓다가 한 달 안에 모두 죽어 광주 땅에 임시로 매장하였는데 살을 베는 아픔을 차마 말할 수 없었다.’는 세주가 달려 있다.
*월간 『우리詩』(2020년 3월호, ‘한시한담’)에서
*사진 : 요즘 한창 피어나는 완두콩 꽃
--이 글은 조영임 교수가 오랫동안『우리詩』에 연재해온
‘한시한담’ 3월호에 나오는 시들이다.
이걸로 보면 역병(疫病)은 언제나 있어왔고
격리하는 것이나 혼자 떨어져서 지내는 걸 보면
오늘날과 ‘거리 두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나이 드신 분이 병을 피해
절 같은 곳에 피하는 것도 한가지다.
우리 선조들도 이런 지혜를 발휘하여
언젠가 사라지길 바라며 참고 견뎠던 것이다.
너나없이 관심을 가지고 서로 격려하며
치료에 힘써
하루빨리 역병을 물리칩시다.
'문학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영호 시조시집 '연동리 사설'의 4.3시 (0) | 2020.04.11 |
---|---|
월간 '우리詩' 4월호의 詩들(2) (0) | 2020.04.08 |
홍해리 시 '아름다운 남루'와 산수유 (0) | 2020.03.12 |
경칩에 피어난 꽃들 (0) | 2020.03.05 |
월간 '우리詩' 3월호의 시와 목련 (0) | 2020.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