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야로 엎치락뒤치락
뒤숭숭한 밤을 보낸 이 아침에도
여전히 밝은 해가 떠올랐다.
뒤돌아보면, 동양이나 서양이나
약육강식(弱肉强食)으로 점철되어 온 인류역사.
야수(野獸)보다도 못한 인간 본성이 아니라면
조금이라도 양심은 지니고 있어야 하고,
상대를 ‘인간이하’ 취급하며 야만스럽게 행동했던
자신을 돌아보며 반성하여야 하며,
자신들이 저지른 행동에 대해
머리를 숙일 수 있어야
같이 살아갈만한 이웃이 되는 거다.
아직도 강대국에 붙어 아첨이나 하고 비위를 맞추면서
제멋대로 행동하는 그네들에게 빌붙어
꼭 지나간 굴욕의 역사를 묻어야 하는가,
참으로 자존심이 상하고 굴욕적인 아침이다.
오늘 그 치욕의 역사 속에서 목숨을 걸고
나라를 찾으려던 선열들에게 무슨 낯짝으로 고개를 들까.
♧ 그날이 오면 - 심훈
그 날이 오면, 그 날이 오면은
삼각산(三角山)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漢江)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 날이
이 목숨 끊기기 전에 와 주기만 할 양이면,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鐘路)의 인경(人磬)을 머리로
들이받아 울리오리다.
두개골이 깨어져 산산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恨)이 남으오리까.
그 날이 와서, 오오, 그 날이 와서
육조(六曹) 앞 넓은 길을 울며 뛰며 뒹굴어도
그래도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미어질 듯하거든
드는 칼로 이 몸의 가죽이라도 벗겨서
커다란 북을 만들어 들쳐 메고는
여러분의 행렬(行列)에 앞장을 서오리다.
우렁찬 그 소리를 한 번이라도 듣기만 하면,
그 자리에 거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 축복의 이날을 - 김덕성
언어가 있어도 쓸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노예로 끌려가고
피 흘림이 얼마인가
자유를 빼앗긴 빛 잃은 세상
길고 긴 서른여섯 해
희망의 기다림
천구백사십오 년 팔월 십오일 정오
어둡고 침울하던 이 땅
빛나는 새 빛의 기적이 일어나
감격의 해방이 되었다
거리엔 수많은 사람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친 그날
노예에서 자유를 찾은 축복의 날을
어찌 잊을 수가 있으리
♧ 광복을 되새기며 - 동호 조남명
잠시도 맘 못 놓았던
그 많은 외침에도
이 터전을 지키고 있는 우리는
위대한 겨레의 혼이 있었다
이 땅을 욕심내는
쉴 새 없는 침략의 짓들
지금도 그 근성 놓지 않았으니
독도를 제 것이라고
삼십 육년 총칼 짓에
숱하게도 머리통은 뒹굴고
몸은 뒤집어 쓰러져도
불굴의 민족 영혼은 더 살아났다
그리도 갈망하던
조국의 되찾음
그 감격의 목 매인 소리
귓전에 생생히 다가온다
이 걸 못보고 먼저 가신
선열의 헛됨이 아니어야 하리
그 정신 가슴 깊이 되 담아
후손들이 소중히 이어가게 하소서
이 땅을 영원히 간직하며
번영된 나라 이끌어 가게 하소서
'문학의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드리문학 제11집 '박수기정 관점'의 시조(6) (0) | 2023.08.17 |
---|---|
배진성 시집 '서천꽃밭 달문moon'에서(3) (0) | 2023.08.16 |
월간 '우리詩' 8월호의 시(2) (0) | 2023.08.13 |
양동림 시집 '여시아문'의 시(1) (0) | 2023.08.12 |
계간 '제주작가' 여름호의 시조(3) (0)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