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창보 심방의 ‘용놀이’ * 양창보 심방이 나와 제상에 절을 하고 있다. ♧ 심방굿놀이의 전승보전과 활용 방안 지난 7월 4일 금요일 오후1시부터 국립박물관 대강당에서는 제주 민속극 세미나와 양창보 심방의 심방굿놀이 ‘용놀이’가 제주전통문화연구소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으로 열렸다. 민속학자 심우성 선생.. 향토문화 기행 2008.07.25
제주어를 살리는 길 [보리밭] * 이 글은 JDC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에서 발행하는 ‘제주의 꿈’ 6월호에 실었던 글입니다. 지면이 좁기 때문에 '제주문학‘에 실었던 것을 초록(抄錄)한 것입니다. 제주어는 제주문화를 담는 그릇이자 제주정신이 들어 사는 집이다. 그러나 한 때 표준어를 금과옥조처럼 신봉한 나머지 .. 향토문화 기행 2008.06.05
의귀 한남 수망 4.3 해원상생굿 * 행사를 알리는 현수막, 현장 울타리 안에 설치된 것 * 행사장 바깥 울타리를 장식한 설치미술 * 행사장으로 들어가는 정문에 설치한 영신문(迎神門) 지난 4월 13일 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서귀포시 남원읍 의귀리사무소 앞마당에서는 4.3때 불귀의 객이 된 의귀, 한남, 수망리 원혼을 위무.. 향토문화 기행 2008.04.16
송당리 신과세제 모습 어제는 제주시 구좌읍 중산간 마을인 송당리에서 열리는 제주도무형문화재 제5호인 ‘송당리 신과세제’를 보러 갔다. 1986년 4월 10일에 문화재로 지정된 이 마을굿은 송당리 마을제 보존회 주최로 행해지며, 주민들은 물론 주변 마을 사람들도 모여들어 아침 7시부터 오후 2시까지 행해졌다. 방문객들.. 향토문화 기행 2008.02.20
한림공원의 당신상들 한림공원 안에는 천연기념물 제236호 협재쌍용동굴이 자리잡고 았는데, 관람이 허용된 제1동굴에서 나와 다시 제2동굴로 들어가는 사이에 제주 현무암으로 만든 일련의 석상들을 전시해 놓았다. 이 석상들은 물론 근래에 들어 만든 것이긴 하지만 그 모습은 과거 제주의 신당(神堂) 안에 모셔졌던 신상.. 향토문화 기행 2008.02.17
탐라입춘굿놀이 중 탈춤 * 관덕정 앞에 모셔놓은 입춘굿놀이의 상징이 된 낭쉐(나무로 만든 소) ♣ 탐라국입춘굿놀이 중 유일하게 본 탈춤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제주도지회가 주관하는 2008 탐라국입춘굿놀이가 복원, 재현된 지 10년째로 관덕정 앞마당과 목관아지에서 2월 3~4일 양일간 베풀어.. 향토문화 기행 2008.02.05
굴묵으로 보는 제주의 보온 문화 * 이 글은 JDC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에서 발간하는『제주의 꿈』1, 2월 합병호에 나온 글입니다. 굴묵 사진은 찍을 기회가 없어 대신 한림공원에서 있는 초가집 사진을 싣습니다. ♧ 온돌과 굴묵의 차이 바야흐로 유가(油價)가 배럴 당 100달러 선을 기록했다. 게다가 일찍 찾아온 한파는 그렇지 않.. 향토문화 기행 2008.02.02
세계자연유산 등재와 제주문화 (2) △▲△ 이글은 제주문화예술재단에서 발간하는 ‘삶과 문화’ 2007년 가을호(통권제37호)에 써서 실렸던 글입니다. 동굴 사진은 직접 찍을 수 없어 제주일보 사진 전시회에서 취재한 것임을 밝혀둡니다. * 성산일출봉 옆으로 해뜨는 광경 (3) 세계자연유산의 의의와 등록의 이점 세계자연유산을 잘 보존.. 향토문화 기행 2007.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