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탐라순력도(10) 정방탐승(正方探勝) (철쭉꽃) ▲ 진시황과 불로초, 그리고 서불과차 우리가 정방폭포를 찾은 것은 3월 6일, 개구리가 놀라 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일이었다. 산북(山北)에는 하루종일 봄을 재촉하는 비가 내렸는데, 한반도 중부에는 눈으로 내린다는 방송이다. 성판악을 지나면서부터 자욱했던 안개가 걷히고 대신 .. 신탐라순력도 2003.06.10
신탐라순력도(9) 정의강사(旌義講射) (제주의 맛, 옥돔구이 정식) ▲ 진정한 의미의 제주도의 향토 음식 여행의 즐거움 중의 하나는 그 지방 고유의 음식을 찾아 음미하는 일이다. 향토음식은 그 지역의 특산물과 풍속 등이 녹아들어 있는 문화의 총체이기 때문이다. 성읍 민속 마을의 음식점에서 대표적으로 내 놓는 향토 음식은 '토종 흑.. 신탐라순력도 2003.04.08
신탐라순력도(8) 정의양로(旌義養老) ▲ 갈옷, 대표적인 관광 상품으로 바뀌어 성읍민속마을의 골목으로 들어서면 붉은 빛을 띤 갈옷이 즐비하게 걸려 있는 상점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과거 노동복이던 갈옷은 이제 여러 가지 패션으로 바뀌어 대표적인 관광 상품이 되었다. 무명 천으로 지었던 것이 대부분 광목 천으로 바뀌고, 삼베나 .. 신탐라순력도 2003.03.15
신탐라순력도(7) 정의조점(旌義操點) (눈이 소복이 쌓인 돌하르방) ▲ 돌하르방! 별고 없으시우까 성읍 민속 마을 정의현성 남문. 자주 찾아오는 곳이지만 오늘 따라 새롭게 느껴진다. 양쪽에 서 있는 두 쌍의 돌하르방이 부리부리한 눈으로 아는 체를 한다. 1653년(효종4)에 이원진(李元鎭) 목사가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과 '제주풍토.. 신탐라순력도 2003.01.10
신탐라순력도(5) 별방시사(別防試射) (김남길이 그린 '별방시사' 그림 부분) ▲ 새로 복원된 별방진성 위에 올라서 보강 취재를 위하여 별방진성을 다시 찾은 것은 추석 전날인 9월 20일이었다. 이번 찾았던 8월 30일에 제주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던 제15호 태풍 루사는 전국적으로 184명의 인명 피해와 5조 4,696억 원이라는 엄청난 재산 피해.. 신탐라순력도 2002.12.18
신탐라순력도(6) 수산성조(首山城操) * 이 글은 '제주시정소식'지에 연재했던 글입니다. * 탐라순력도의 그림 중 '수산성조' ▲ 미풍양속을 고이 간직한 수산리(水山里) 송강 정철은 그의 가사 '관동별곡'에서 절효정문(節孝旌門)이 늘어서 있는 강릉 대도호부의 풍속을 예찬했다. 우리가 찾은 11월 4일의 수산리가 그런 마을이었다. '어진 사.. 신탐라순력도 2002.12.04
신탐라순력도(4) 별방조점(別防操點) * 이 글은 제주시정소식지에 실렸던 내용입니다. * 탐라순력도 중 '별방조점' ▲ 가는 날이 장날, <세화민속오일시장> 우리가 별방진성을 찾아 떠난 날은 제15호 태풍 '루사'가 제주섬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8월 30일 아침이었다. 더위가 한풀 꺾였는지 코스모스가 피어 제 모습을 드러내고, 으아리.. 신탐라순력도 2002.10.01
신탐라순력도(3) 김녕관굴(金寧觀窟) * 이글은 '제주시정소식'에 실렸던 글입니다. * '탐라순력도' 중 '김녕관굴' 부분 ▲ 매장문화의 현주소, 입산봉의 무덤들 김녕사굴로 가는 길에 입산봉(笠山峰)을 먼저 찾았다. 탐라순력도 김녕관굴 아래편에 나지막한 오름을 그려놓고 봉수대 그림과 함께 입산망(笠山望)이라 적혀 있기 때문이다. 서.. 신탐라순력도 2002.09.04